BLOG main image
도시 이야기 (22)
도시의 영화들 (15)
쑤와 레노아의 가족 영화 이야기 (2)
달콤한 나의 도시 (5)
먼북소리 (0)
Visitors up to today!
Today hit, Yesterday hit
daisy rss
tistory 티스토리 가입하기!
'빨간 모자'에 해당되는 글 1건
2014. 12. 27. 21:00

이 영화가 왜 이리 평이 안 좋은지 모르겠지만, 난 2시간 내내 배꼽을 잡으면서 봤다. 아무래도 <숲 속으로(In to the woods)>는 예쁘고 귀엽고 훈내 나는 정통 디즈니 애니메이션과 거리가 멀다. 이런 걸 기대하고 극장에 들어온 사람들은 좀 놀랐을 수 있다. 하지만 그렇다고 2시간 내내 실망감에 젖을 필요는 없어 보인다. <숲 속으로>는 한 마디로 병맛과 개드립을 난사하는 ‘블랙 디즈니’이자 막장 애니메이션이다. 따라서 그냥 그렇게 즐기면 된다. 숲 속 영상은 환상적이고, 브로드웨이 원작 뮤지컬을 영화화한 만큼 음악적 매력이 풍부하다. 메릴 스트립, 조니 뎁 뿐 아니라 노래 잘 하기로 소문난 에밀리 블런트, 제임스 코든, 안나 켄드릭, 크리스 파인 등 주연들이 부르는 위트 있는 넘버들은 완성도가 높고 귀를 즐겁게 한다. 빨간 모자 역을 맡은 어린 릴라 크로포드의 야무진 표정과 음색도 압권이다. 





<숲 속으로>는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 등으로 유명한 스티븐 손드하임의 동명 뮤지컬이 원작이다. 유튜브에서 뮤지컬 영상을 찾아보면, 캐릭터나 뮤지컬 넘버 연출에 있어서 영화가 꽤 충실하게 무대를 복기했음을 알 수 있다. 내용은 익히 알려진대로 유명한 동화들의 복합체(신데렐라, 잭과 콩나무, 빨간 모자, 라푼젤 등)다. 하지만 유명 동화 속 주인공들의 인연은 우연적이고 절묘하게 엮이면서 전혀 새로운 스토리가 만들어진다. 





헌데 캐릭터들은 하나 같이 ‘병캐(병맛 캐릭터)’다. 신데렐라, 잭, 빵집 부부, 마녀, 왕자 등 너나 할 것 없이 ‘병맛력’을 뽐내는데, 디즈니가 마치 이번만큼은 제대로 막 나가 보겠다고 작정한 듯 보일 정도다. 엄마한테 맨날 머리통을 야무지게 ‘후려 맞는’(이렇게 표현함이 적절하다) 잭, 우유부단과 결정 장애의 극치를 달리는 신데렐라, 마녀의 요구를 들어주기 위해 겨우겨우 구한 소를 어처구니 없이 잃어버리는 빵집 부부의 허무 개그 등 등장 인물들은 모두 원작 동화와 달리 조금씩 비틀려 있다.


예컨대 신데렐라가 자정 전에 파티를 빠져나오다가 유리 구두를 흘린 원작 동화의 내용은 모두가 알고 있다. 하지만 <숲 속으로>는 이런 대목에 집요하게 의문을 던진다. 만약 신데렐라가 결단력 제로의 인물이라면? 결국 <숲 속으로>는 신데렐라를 사흘 내내 왕자랑 춤만 잘 추다가 밤만 되면 급 도망치는 결정 장애 인물로 꼬아 놓고, 왕자는 그런 신데렐라를 잡기 위해 갖은 수단을 다 쓰는 과도한 열정남으로 만들어 놨다. 마지막으로 도망치던 중 신데렐라의 머릿속에선 몇초간 슬로우 모션으로 약삭 빠른 계산이 오고 간다. 구두를 벗고 뛰어? 아님 그냥 왕자한테 못이기는 척 잡혀봐? 그러다가 이 신데렐라는 ‘일단 도망은 치되, 보험으로 구두 한 짝만 두고 가지 뭐’라는 심정으로 구두를 벗어 둔 채 맨발로 도망가는 것이다. 이렇게 <숲 속으로>는 원작 동화를 B급 패러디물로 재구성하는 데 목적을 둔 듯하다. 등장 인물들은 전부 매우 어처구니 없이 죽거나 사고 당하거나 서로 눈이 맞는다(?). 전형적인 막장 코드다.



하지만 동화 아닌 현실에서 이별과 죽음, 배신과 속임수는 종종 어처구니 없이 발생하는 것 아닌가. 따라서 이 영화를  ‘동화 속 주인공들이 선사하는 올 연말 최고의 선물’ 같은 말로 설명해선 안된다. 적어도 <숲 속으로>는 최대한 예쁘고 완벽한 동화를 그려내는 것을 목표로 삼지 않았다. 이 영화의 '숲'은 현실 속 모순들만 극대화해 담고 있는 상징적 공간이다.


영화의 결말도 동화적이라고 하기 어렵다. 모든 악이 격퇴되고 험난한 사랑은 이뤄지며 기억에 남을만한 엔딩 넘버로 막을 내리지 않기 때문이다. 대신 <숲 속으로>는 여전히 아직 어두컴컴한 숲 속에, 사랑하는 이들을 잃고 홀로 남은 인물들을 조용히 모으며 끝을 낸다. 영화가 시작할 때는 서로 전혀 남남이었던 이 원작 동화 속의 전설적 주인공들이 이제 이곳에서 자연스레 제2의 가족이 된다. 2시간여의 모험은 동화 속 주인공들로 하여금 크나큰 상실을 겪게 하는데 주저함이 없었고, 남은 이들은 연대하게 했다. <숲 속으로>의 숲은 신비한 마법으로 가득한 공간이었지만 현실의 ‘상실’까지 말끔히 해제하는 동화적인 마법은 과감히 사양했다. 난 영화를 보는 내내 끝간데 모를 개그와 충실한 병맛 드립을 실컷 즐겼고, 사랑스러운 동화 속 숲 대신 현실의 욕망을 반영하는 숲을 지어낸 롭 마샬 감독의 선택을 즐겼다. 친절하고 잔인하지 않게 교훈을 전달하는 영화를 기대한다면 그런 영화는 결코 아니다. 오히려 성인 관객으로선 즐기지 못할 이유가 없다.



- 롭 마샬 감독은 역시 뮤지컬 원작인 영화 <시카고>로 아카데미 작품상을 수상했고, 뮤지컬 원작자인 스티븐 손드하임은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 <스위니 토드> 등으로 유명한 작사/작곡가다.

- 조니 뎁을 보러 오려는 관객이라면...그의 분량은 매우 적다는.

prev"" #1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