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 main image
도시 이야기 (22)
도시의 영화들 (15)
쑤와 레노아의 가족 영화 이야기 (2)
달콤한 나의 도시 (5)
먼북소리 (0)
Visitors up to today!
Today hit, Yesterday hit
daisy rss
tistory 티스토리 가입하기!
2014. 8. 15. 02:04


가족 이야기에 대한 갈증이 생기면 늘 집어드는 영화 두 편, <레이첼 결혼하다(2008), 조나단 드미>와 <걸어도 걸어도(2008), 고레에다 히로카즈>다. 이 때 나의 갈증이란 ‘가족에 관한 이야기를 다룬 영화를 보고 싶다’라기 보다는 좀 더 복잡 미묘한 감정이고, 일반적으로 ‘가족 영화’라는 장르가 환기하는 가족애 따위를 향한 갈증도 아니다. 그러니까 나는 예컨대 내가족이 미울 때, 내 가족을 못 견딜 것 같을 때 혹은 내 가족을 향한 나의 이기심을 확인(?)하고 싶을 때 이 두 영화를 꺼내든다.



# <레이첼 결혼하다>는 문제아 동생 킴(앤 해서웨이)이 언니 레이첼(로즈마리 드윗)의 결혼식에 참석하기 위해 재활원에서 나오는 날부터 시작된다. 킴은 모처럼 만난 가족들과 반갑게 정을 나누며 언니의 결혼을 준비하는 시간을 가진다. 서로를 극진히 아끼는 네 식구, 겉으로 보기에는 사랑과 보살핌만이 존재하는 화목한 가족이지만 킴은 계속 왠지 모르게 가족들이 불편하다. 가족들은 그런 킴을 보며 또 안타까워 하지만, 서로 사랑하면서도 서로 이해하지 못하는 새 결혼 날짜는 다가온다. 





이 영화를 보고 난 내 안에도 있던 비밀한 감정을 들킨 것만 같은 느낌을 받았다. 바로 ‘내 가족이 밉다’라는 감정을. 이상하게 이따금 가족이 ‘견딜 수 없이 밉다’는 생각이 들 때가 있다. 주말 막장 드라마처럼 그들이 말 그대로 죽을 죄를 지은 것도 아닌데, 드라마처럼 극적인 갈등이나 신파가 있는 것도 아닌데 말이다. 잔잔한 호수 표면 위에 대수롭지 않은 돌멩이 하나가 파장을 일으키듯, 오히려 가족 안에선 늘 말도 안되게 사소한 것 가지고 상처 입고 상처 입히는 일이 잦았다. 그리고 이런 감정을 느낀다는 것만으로도 난 뜨악해 했다. 가족이란 ‘좋다, 밉다’라는 가치 판단의 대상이 될 수 없는 숭고한 무언가가 아닌가 하는 자기 검열적인 생각에서였다.





하지만 사람이란 결국 자기 자신을 가장 아끼고 사랑할 수밖에 없는 이기적인 존재다. 이 근본적인 욕망이 가장 극적으로 도전 받는 장소가 바로 가족 안일 것이다. '혈연'이라는 존재에는 으레껏 대가 없는 사랑과 배려가 전제 돼있기 때문이다. 다른 존재에 대해서는 이 같은 마음을 가질 필요가 없지만, 가족에 대해서는? 조금 다르게 느껴진다. 이것이 문화적으로 학습된 것인지 인간의 본능인지는 잘 모르겠다. 다만 과학적으로 규명할 수 없는 ‘가족애’라는 것의 실체가 거기에 있지 않을까 싶다. 


레이첼은 자신의 결혼식 하루만큼은 자기가 주인공이고 싶다는 소박한 이기심을 갖고 있었다. 자신의 결혼식인데도 사람들의 관심과 신경은 동생 킴에게만 몰려 있는 상황 가운데, 레이첼은 동생을 미워하기에 이르는 자신의 마음을 계속 다잡으려고 노력하지만 쉽지 않다. 반면에 킴은 자신이 ‘관심사병’이 돼서 온 가족들의 친절에 시달리고 있다는 본인 위주의 생각에 빠져 있었다. 9개월만에 만난 이 두 자매의 충돌은 예상된 수순이었는지도 모르겠다. 그리고 그 충돌의 폭발력은 상당히 컸다. 



# <걸어도 걸어도> 역시 같은 의미에서 종종 ‘섬찟’한 느낌을 자아냈다.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의 가족이 어땠는지야 알 도리 없지만, 그는 네 식구에 불과한 한 가족 안에도 벽장 속을 다 채우고 남을 만큼 수많은 비밀한 감정들이 있다는 것을 알고 있었던 듯 싶다. 그리고 언젠가 그의 인터뷰를 봤다. 이 영화를 만들기 얼마 전, 부모님이 모두 세상을 떠났다는. 





이 영화에서도 가족이란 존재는 ‘가족이라서’ 서로 상처를 주고 받는 존재다. 평범하고 화목한 가정이라는 상투적인 수식어가 무색하게도, 내가 가장 많은 상처를 입히는 사람은 고작 몇명 되지 않는 내 가족들이다. 료타 역시 되도록이면 고향의 부모님 집을 찾으려고 하지 않는다. 보통 연례 행사로 얼굴만 비치면 그의 할 일은 다 한 셈이 되곤 하는데, 으레 한 번 있는 그 방문에서도 상처의 파편들은 불쑥불쑥 날아든다. 예컨대 전남편과 사별하고 료타와 결혼한 새 며느리를 두고 순진무구한 얼굴로 ‘중고’라 칭하는 어머니, 본인이 듣기에 거북한 이야기가 펼쳐지면 늘 자리를 박차고 일어나는 가부장적인 아버지, 엄마 속도 모르고 친정에 얹혀 살 궁리만 하는 딸. 이들 사이에서 상처의 파편들은 기척도 없이 집 안을 유영한다. 





특히 어머니(키키 키린)는 이 가족 안에 쌓인 것들을 가장 잘 대변하는 인물이다. 어머니는 늘 인자하고 헌신적으로 나머지 식구들을 위해 밥을 짓고 간식을 만들지만, 그녀의 내면 깊은 곳에는 수십년 간 쌓여온 고통이 있다. 큰아들의 죽음, 젊은 시절 남편의 외도...세월이 흐른 지금 너무도 평온하고 평범해 보이는 한 가족의 ‘어머니’는 오늘의 이 표정을 만들기 위해 얼마나 오랜 기간 그 고통들을 삼키고 소화해 냈을까. 정적인 카메라에 담긴 집 안의 풍경에서는 때때로 탁하고 무거운 공기의 질감까지 전해진다. 



# 두 영화의 가족들은 모두 서로 간의 오해나 원망 또는 해묵은 갈등을 풀고 ‘보다 더 화목한’ 세계로 나아갈 수 있을까? ‘전혀’다. 그건 현실이 아닐 것이다. 이들 가족은 이후에도 끊임없이 냉탕과 온탕을 오고갈 것이다. 가족이란 그런 거니까. 널 미워하는 나 자신을 자책하게 만드는 동생으로 인해(레이첼), 자식을 원망하는 나 자신을 벌 주고 싶게 만드는 딸로 인해(레이첼과 킴의 엄마), 레이첼의 결혼식은 끝나지 않고 계속될 거다. 료타 엄마가 남편의 외도를 마음에 수도 없이 아로 새기듯 틀어두던 노래 ‘걸어도 걸어도’ 또한 끝나지 않고 울려 퍼질 거다.